알라딘 중고매장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청주점] 서가 단면도
(0)

오랜 시간 서로 무관한 것으로 여겨졌던 맑스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방법론 사이에 숨어 있는 공통성을 찾아내고, 그 토대 위에서 새로운 지식 통합의 지평을 모색한다.

‘가치중립적 사회과학’을 이상으로 삼는 실증주의적 사회연구 관행은 현대 한국 사회의 복잡한 사회문제와 인간 현상을 설명하고, 타당한 처방을 제시하는 데 무능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 결과 사회과학은 전문가의 과학으로 전락했고, 심지어 쓸모없는 학문 분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과학과 인문학의 단절을 일컫는 ‘두 문화’ 문제 또한 파편화된 지식 생산의 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이 같은 현실을 대면한 저자는 인간과학을 분할해온 여러 이분법이 맑스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방법론에서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논증한다. 맑스와 뒤르케임의 방법론이 공유하는 합리적 핵심을 현대 사회연구에 응용할 때, 인간의 ‘고통’과 ‘가치’의 문제를 끌어안는 진정한 인간과학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책을 펴내며
'두 문화'를 넘어 인문사회과학의 토대를 새로이 하기

제I장 머리말
1. 왜 맑스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방법론인가? | 2. 이 책의 개요: 어떤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제II장 이분법적 해석의 오류들: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새로운 사회과학철학의 요청
1. 현대 사회과학철학의 이원론적 문제장 | 2. 이분법적 해석의 오류들: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 | 3. 두 개의 사회학의 딜레마: 고전 사상의 안티노미? | 4. 비판적 논평: 새로운 사회과학철학의 요청

제III장 비판적 실재론의 사회과학철학
1. 실증주의와 실재론 | 2.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철학 개관 | 3.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적 발견의 논리 | 4. 비판적 자연주의와 설명적 비판 | 5. 비판적 논평: 텍스트를 읽는 독법

제IV장 맑스와 뒤르케임의 비판적 자연주의
1. 19세기 과학철학의 현재성: 칸트 이후의 딜레마 | 2. 맑스의 인간적 자연주의: 관념론과 유물론의 이항대립을 넘어 | 3. 뒤르케임의 사회학적 자연주의: 도덕론과 경제학의 이항대립을 넘어 | 4. 대화: 맑스와 뒤르케임의 층화이론과 공시발현적 힘의 유물론 | 5. 비판적 논평: 맑스와 뒤르케임의 비판적 자연주의 | 예비 고찰 1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과 『자본론』의 상호텍스트성

제V장 『자본론』의 방법론과 설명적 비판
1. 설명적 비판의 문제제기: 『자본론』 1판 서문 및 2판 후기를 중심으로 | 2.『정치경제학 비판 요강』과 『자본론』의 사회형태학과 사회들 | 3. 과학적 발견의 논리와 설명적 방법론 | 4.『자본론』의 설명적 비판의 쟁점들 | 5. 비판적 논평: 이론과 실천의 변증법 | 예비 고찰 2 『사회분업론』과 『자살론』의 상호텍스트성

제VI장 『자살론』의 방법론과 설명적 비판
1. 설명적 비판의 문제제기: 『사회분업론』 1판 서문을 중심으로 | 2. 과학적 발견의 논리와 설명적 방법론 | 3. 『사회분업론』과 『자살론』의 사회형태학과 사회들 | 4. 『자살론』의 설명적 비판의 쟁점들 | 5. 비판적 논평: 사실과 가치의 변증법

: 이 책은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맑스와 뒤르케임을 새롭게 읽으면서 설명적 비판, 즉 설명과 비판을 핵심으로 하는 방법론의 범례를 구성하고 이것을 사회적 고통과 트라우마 같은 현실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탐구와 처방에서 전개한다. 사회과학이 사소하고 파편적인 것들에 몰두하면서 역사와 사회에 대한 관심을 몰각하는 시대에, 그래서 사회과학에 대한 관심이 사실상 소멸하는 시대에 이 책은 사회과학의 과학성 문제를 제기하고 이론적·실천적 가능성을 복원하는 새로운 지식통합의 지평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시도 자체만으로도 이 책은, ‘문제의 제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책은 끊임없이 독자에게 사회과학은 무엇이며,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그리고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생각할 것을 요구한다.
조효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한국인권학회장 역임)
: 근년 들어 한국 인문사회과학계의 경험적 연구 성과는 실로 눈부시다. 정교한 첨단의 방법론을 활용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물들이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풍요 속의 빈곤이라고나 할까, 특정한 인식론에 기댄 연구 성과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지만, 그것의 바탕이 되는 사회과학철학 연구는 활성화되지 못했다. 이 책은 우리 학계의 이러한 외화내빈의 현실을 시정할 촉매제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는 또한 20세기 사회과학에서 당연시되었던 분과적 사유와 맑스와 뒤르케임의 방법론에 대한 이원론적 해석을 넘어 새로운 지식통합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것은 이론적으로 담대한 도전이자 의미심장한 실천적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는 학계의 새로운 신호탄이다. 우리는 근대 사회과학철학의 근본적 성찰에서 출발하는 이 방대한 지적 모험이 열어젖힐 멋진 신세계를 진심으로 고대하고 응원한다.
김왕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 이 저술은 현상과 사건을 두텁게 읽어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뿐 아니라 사상과 이론을 담고 있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자본주의 모순을 꿰뚫어 본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도덕의 혼돈을 우려했던 뒤르케임의 실증철학, 그리고 난해하기로 소문난 바스카의 실재론의 영역을 두루 섭렵한 후, 다양한 방법론적 줄기들을 자신의 시각으로 재통합하고 있다. 전문성과 대중성의 이름으로 철학과 실천의 빈곤에 허덕이는 한국 인문사회과학계의 지적풍토에서, 현대사회 현상들을 통합적 방법론을 통해 심층적으로 규명할 것을 제안하는 이 책은 새로운 ‘앎과 실천의 길라잡이’가 되기에 충분한 보기 드문 역작이다.
박명림 (연세대 지역학 협동과정 교수, 정치학)
: 이 책은 근대사회과학의 태두 맑스와 뒤르케임의 텍스트를 창(窓)으로 삼아, 또 기존의 이분법적 해석에 대해 비판적 실재론에 입각한 엄밀한 과학철학적 (재)독해를 통해 한국 사회과학의 현실에 대해 핵심적 질문을 던진다.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사회과학과 인문학이라는 이중의 ‘분절’현상에 직면한 한국 사회과학의 철학과 방법에 대한 총체적 문제제기를 통해 ‘통합적 인간과학’이라는 한 차원 높은 학제와 융합의 지식통합 지평을 추구한다. 저자는 사회과학 본연의 과제를 유념하면서 끝내 ‘보편적 인간과학’의 가능성을 궁구하려 고투한다. 가장 놀라운 사실은 세계 보편이론을 통합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출발점이 고통스런 한국사회의 인간현실과 그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대응력을 상실한 한국학문이라는 점이다. 한국사회의 고통에 대한 저자의 인간적 감수성과 과학적 철저성의 결합이 이 발본적 대작의 원천인 것이다. 따라서 저자의 실천적·학문적 지향의 궁극은 한국문제와 통합한국학이다. 방법의 혁명적 전환을 이룬 저자의 한국현실에 대한 다음 저작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최근작 :<경남 근현대사 : 사건, 공간, 운동>,<5.18 다시 쓰기>,<[큰글자책]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 … 총 11종 (모두보기)
소개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 사회학과 교수. 사회적 고통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학제 간 연구방법론을 모색하며, 이행기 정의와 폭력의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통합적 인간과학의 가능성》 등이 있다.